본문 바로가기

SI 개발/용어

LDAP 이란?

출처 : ldap.or.kr/ldap-%EC%9D%B4%EB%9E%80/

 

LDAP 이란? - DSMENTORING

안녕하세요. 본 게시물을 통해 LDAP에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. LDAP 소개에 앞서 X.500 표준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 X.500 X.500은 전자 디렉토리 서비스를 전달

ldap.or.kr

- 출처: ldap.or.kr/ldap-a-to-z/

 

LDAP 과 DAP - DSMENTORING

LDAP (Light 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) LDAP은 TCP/IP 위에서 디렉토리 서비스를 조회 및 수정하는 응용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에

ldap.or.kr

공공 SI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LDAP 통신이란 말을 어깨너머로 자주 들어 해당 용어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기록한다.

위의 링크에서 더욱 자세한 내용을 얻을 수 있으며, 이하의 내용은 주관적인 이해를 위해 정리한 내용이다.

정리의 내용은 길게 하지 않으며, 한 눈에 볼 수 있는 포인트들을 기록한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LDAP은 L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의 약자이다. [ Light + DAP(X.500) ]

X.500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을 따르며 다양한 쿼리를 이용하여 강력한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서버와 데이터 분산이 용이한 표준이다.

 

디렉토리는 쓰기작업보나 읽기작업이 빈번할 경우 적합한 서비스이다. 

- 주관적 생각 : 복잡한 구조의 조직 또는 사용자정보의 집합일 경우 사용이 되는 듯 하다.

 

요청을 보내면 TCP/IP 통해  LDAP서버에 전달(LDAP Request), 서버는 요청처리후 반환(LDAP Result set)

 

X.500,DAP의 OSI Protocole Stack이 아닌 TCP/IP구간에서 운영되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짐

1. 전송속도 개선 2. OverHead 감소 3.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작동가능

4. 데이터 형식이 대부분 단순한 문자열을 사용, 구현 단순화와 성능향상

 

- 주관적 생각 1: OSI Protocole Stack의 7계층(응용)에서  TCP/IP 4계층(전송)으로 내려오기 때문의 이점인가?

- 주관적 생각 2: DAP의 구조는 트리레벨로 구성됨. 이를 통해 검색 자료구조의 이점을 가지는 듯 하다.  

 

특징 : 네트워크 상에 있는 파일 또는 장치(서버, 프린터 등) 등의 위치(주소)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.

LDAP Directory와 RDBMS의 차이